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GDP 뜻, GDP 개념 완벽 정리 (국내총생산)

by 경린이의꿈 2024. 2. 20.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맛스타입니다.
오늘은 GDP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GDP가 높다"는 말, 들어보셨나요?


GDP가 무엇일까요?


GDPGross Domestic Product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국내총생산'이라고 번역됩니다.

GDP는 어떤 나라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모든 최종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합한 것으로,
나라의 '경제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라 볼 수 있습니다.


즉 GDP는 모든 '최종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합한 것입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한 가정을 생각해보면 되는데요.


만약 가족이 함께 사는 집이 한 나라라고 생각한다면,
그 집에서 한 해동안 구매하여 사용하는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합한 것그 집의 GDP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GDP에 포함될까?



GDP가 우리 생활의 모든 가치를 반영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사실 그렇진 않습니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무급의 가사 노동이나
자원의 소모, 삶의 질 등은 통상적으로 GDP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GDP는 경제 활동의
한 부분만을 측정하는 지표라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단, 넓게 보자면, 금전적 이득이 아닌 것들도
GDP에 포함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부가 국민에게 제공하는 교육이나 건강 관련 서비스,
인프라 구축 등도 GDP에 포함됩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직접적인 금전적 이익을
창출하지는 않지만, 국민들에게 제공되는
'최종 서비스'이므로 GDP에 반영됩니다.

* 최종 서비스 = 소비자가 ‘직접’ 소비하는 서비스




또한, 자원을 이용해 생산된 물건이나 서비스가
판매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 가치는 GDP에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농부가 직접 자신의 농작물을 소비하는
경우도 그 농작물의 가치는 GDP에 포함됩니다.

농부가 자신의 농작물을 소비하는 경우처럼,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은 상품이나 서비스도
GDP에 포함되는 이유는 뭘까요?

경제에서는 이런 상품이나 서비스를
'비시장 생산'이라고 부릅니다.

비시장 생산은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지만,
그래도 가치를 가지고 있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농부가 자신의 농작물을 소비하는 경우,
농작물은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았지만 그래도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비시장 생산
GDP에 포함되는 이유는, 이것이 그 나라의
총 생산에 기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원을 이용해 생산된 물건이나
서비스가 판매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 가치는 GDP에 포함된다'는 이야기입니다.






GDP는 한 나라의 경제 활동의 규모를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한 나라의 GDP가 높다는 것
다른 나라들에 비해 그 나라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치가 높다는 것, 그 나라의
경제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그 나라의 생산력이 높고, 사람들이 많은 재화와
서비스를 소비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 나라의 GDP가 높다고 해서 그 나라의
삶의 질이 반드시 높다는 것은 아닙니다.

GDP는 한 나라의 경제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지만, 모든 것을 나타내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GDP는 소득 분배의 불평등, 환경 문제,

삶의 질 등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GDP는 단순히 경제 활동의 규모만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한 나라의 삶의 질을 평가할 때는
GDP 외에도 여러 가지 다른 지표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GDP는 경제성장률을 측정하는 데도 사용되며,
경제성장률전년도 대비 올해의 GDP가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를 통해 그 나라의 경제가 얼마나 성장했는지,
또는 축소되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하트를 꾹 눌러주시고
경린이가 경제마스터가 되기까지
경제맛스타와 함께해요 ✨